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본 문서 리다이렉트 중,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오헝", "오헝 제국", "이중 제국", "헝가리-오스트리아 제국"을 존치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중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오헝제국"을 삭제한다.
"삼중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제국" 등의 문단 리다이렉트 또한 존치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한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공업]] 발전상과 기술적 성취는 경이적인 것이었으나, 전체적인 경제 규모는 여전히 다른 열강들에 미치지 못했다. 1990년 달러화 기준으로 평가한 1913년 오스트리아의 실질적인 [[GDP]] 규모는 1005억 1500만 달러로, 2373억 3200만 달러인 [[독일 제국]], 2544억 4800만 달러인 [[러시아 제국]], 2246억 1800만 달러인 [[영국]]의 절반 이하였다. [[프랑스]] 역시 1444억 8900만 달러로 오스트리아의 1.5배 규모였으며, 주요 라이벌이자 열강 하위권이었던 [[이탈리아 왕국]]마저 954억 8700만 달러로 오스트리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https://encyclopedia.1914-1918-online.net/article/organization_of_war_economies_austria-hungary|#]]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00%><nopad> [[파일:Composition-of-GDP-in-Constant-1913-Prices-per-cent.png|width=100%]] || ||<bgcolor=#E11423,#E11423> {{{#fff '''1870년부터 1910년까지 20년 간격으로 측정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국내총생산|{{{#fff 국내총생산}}}]] 중 산업별 비율. [[오스트리아 제국|{{{#fff 오스트리아 제국}}}]]의 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에 불과하지만, [[헝가리 왕국|{{{#fff 헝가리 왕국}}}]]에서는 무려 약 50%에 달한다. 반대로 제조업 및 금융업이 각국의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오스트리아가 헝가리의 2배에 달한다.[[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mposition-of-GDP-in-Constant-1913-Prices-per-cent_tbl1_4729626|#]]'''}}} || 근본적 원인은 지역에 따라 발전이 매우 불균형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제국의 영토는 유럽 동남부의 험준하고 빈곤한 산악지대와 유럽의 주요 공업 지대, 그리고 지중해에 매우 어중간하게 걸쳐 있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슬라브 및 동유럽학대학의 [[체코인]] 교수 야쿠프 베네시(Jakub Beneš) 교수는 체코나 오스트리아 또는 연해 지대 등의 일부 지역들이 동시대의 다른 유럽 국가들의 평균적인 수준보다도 더 발전되었고 제국의 나머지 지역들 역시 급격하게 발전 중이었다는 사실을 긍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경제 전반은 1918년 멸망 전까지 농업(agrarian) 위주였다고 설명한다.[[https://encyclopedia.1914-1918-online.net/article/labour_labour_movements_trade_unions_and_strikes_austria-hungary|#]] 산업지대, 즉 석탄이 생산되는 체코와 철광석이 생산되는 슈타이어마르크, 빈과 부다페스트의 공장들, 트리에스트의 항구는 카이저 페르디난트 북부제국철도로 이어진 데다가, 인접한 독일의 경제권이나 바다의 국제 유통망을 통해 수출과 수입이 용이했기에 나머지 유럽 국가들의 평균치보다도 훨씬 발전되었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은 그렇지 않았다.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보스니아 등 내륙 지역은 높은 [[디나르알프스산맥]]과 [[카르파티아산맥]]에 걸쳐 있거나 둘러싸였기 때문에 타지와 교류하기가 힘들었다. 이들 산맥 때문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과 달리 각 도시의 유통망을 연결하는 경제 대동맥인 운하를 건설하는 꿈도 못 꿨고, 수천 미터의 깎아지른 산봉우리를 뚫고 옆 마을로 갈 비포장 도로 건설부터 걱정해야 할 판이었다. 이는 운하가 쓰이던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반의 산업혁명을 가로막고 그 이후로도 각 지역의 발전을 방해한 주 원인이었다. 게다가 넓은 달마티아 해안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쪽으로 갈수록 산세가 깊고 험해지는 디나르알프스 산맥이 해안선을 따라 늘어서 있어서 제국의 주요 무역항은 북서부에 치우친 이스트리아반도의 [[트리에스테|트리에스트]]와 [[리예카|피우메]], [[풀라(도시)|풀라]]뿐이었으며 세 도시는 당연히 제국 동부와 내륙지역과는 너무나도 멀었다. 한때 중개무역으로 번영했던 달마티아 지역의 [[두브로브니크]]나 [[자다르|차라]] 등의 항구는 산맥 때문에 접근성이 나빴으며 이미 무역항의 기능을 잃은 지 오래였다. 그렇다고 국제하천인 [[다뉴브강|도나우강]]을 통해 남동쪽에 인접한 세르비아나 루마니아, 오스만 제국 등과 연계된 무역망을 구축할 수도 없었다. 이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잠재적 적국이자 분쟁지대에 위치한 경제적 후진국이었다.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51.9%><nopad> [[파일:Panjehouses-Farmhouses-in-Galicia-1920s-1024x730.jpg|width=100%]] ||<nopad> [[파일:Teodor_Axentowicz_-_Pogrzeb_huculski.jpg|width=100%]] || ||<bgcolor=#E11423,#E11423> {{{#fff '''1920년 [[갈리치아|{{{#fff 갈리치아}}}]] [[이바노프란키우스크|{{{#fff 스타니슬라비우}}}]]의 농촌 초가집'''}}} ||<bgcolor=#E11423,#E11423> {{{#fff '''갈리치아의 장례 풍경'''}}} || 빈곤 문제의 최고봉은 [[갈리치아]]였다. 갈리치아는 동북쪽 [[카르파티아산맥]]의 장벽 바깥에 혼자 덩그러니 놓여진 변방이었기 때문에 고립 문제가 가장 심각했다. 테셴[* 독일어 명칭. 체코어로는 테신, 폴란드어로는 치에신으로 표기한다.] 지방을 거쳐야만 제국 중심부에 접근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들은 폴란드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와 기존 지배층 간 타협으로 전통적인 지주제가 유지되었다.[* 특히 동갈리치아는 폴란드계 지주와 우크라이나계 소작농 간의 갈등이 심하였다.] 갈리치아는 항상 빈곤과 기근에 시달림에도 열악한 교통망 때문에 제때 지원을 받지 못해 매년 아사자가 수만 명씩 발생할 정도였다. 제국 면적의 30% 가량을 차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는 고작 6%밖에 안 되는 가난한 동네였다. 이 지역 내부의 산업 비중을 살펴보자면 1910년 기준으로 78.71%가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공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고작 6.77%였다. 종합하자면, 제국 영토의 대부분은 극단적인 격오지였다. 갈리치아는 얼마나 가난했는지, 극단적인 빈곤과 인프라 부족을 견디지 못하고 해외로 이민하는 이들이 속출했다. 제국이 성립된 이후 40년간 총 350만명이 해외, 주로 미국이나 아르헨티나, 캐나다로 이주했는데 이들 대부분이 갈리치아 출신일 정도였다. 이 이외에 갈리치아만큼이나 가난한 지역들로 더럽게 복잡한 해안가와 높은 산지를 동시에 가진 달마티아, 루마니아인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트란실바니아 등이 있었다. 특히 달마티아는 중세시대에 베네치아 공화국의 일원으로 번영했던 것이 상전벽해일 정도로, 갈리치아와 함께 가난함이라면 쌍벽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들은 자연스럽게 국제, 국내 교통망에서 밀려나 산업혁명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제국 면적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성 이슈트반 왕관령[*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서부 헝가리는 제외.], 갈리치아-로도메리아, 보스니아 지역은 농업이 주 산업이었으며 여기서 생산되어 수출된 밀은 한때는 러시아 제국의 수출량보다도 많았을 정도였다. 심지어 당대 부다페스트 곡물거래소의 밀 거래량은 미국 [[미니애폴리스]] 곡물거래소의 거래량보다 많았다. 그렇다고 해서 제국 서부 지역도 모두 공업이 발달한 것은 아니었다. 가령 제국의 최서단인 오스트리아 서부 산악지대와 같은 지역들은 양 치고 젖 짜서 치즈나 만드는 농촌들이 다수였다. [[티롤]]의 경우 공업 종사자는 고작 16.51%, 반대로 농업 종사자는 자그마치 56.71%에 달했다. 이러한 제국의 상황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게 에너지 원료의 종류별 비율이다. 1910년 영국에서는 에너지 원료의 80%를 석탄으로 충당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고작 33%에 머물렀다. 나머지는 거의 대부분이 바이오매스, 즉 [[목재]]였다. 이는 대다수의 지역의 근대화가 미비하여 주민들이 여전히 나무를 베어 난방에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제국의 석탄 생산량이 너무 적고[* 이마저도 대부분이 저품위 석탄인 [[갈탄]]이었다. 산업에 핵심적인 [[역청탄]]은 [[모라비아 변경백국|모라비아]]와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에서만 생산되었다.], 유통도 주요 산업지대 외에는 제대로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거기다 1873년 빈 주식시장이 폭락하며 발생한 전 세계적 규모의 [[장기불황]]은 이런 양극화를 고착시켰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공황을 제대로 얻어맞으면서, 철도 등의 각종 인프라와 산업화를 동쪽 내륙까지 확장하려던 시도가 한동안 중단되었던 것이다. 이 공황의 여파로 인해, 헝가리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880년대가 되어서였다. 그리고 보스니아나 트란실바니아 등의 진짜 격오지들은 제국의 멸망 때까지 산업화를 사실상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물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낙후된 영토들이라도 주변 동유럽이나 남유럽 또는 비유럽 국가들에 비해 사정이 괜찮기는 했다. 1930년대의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의 문해율 지도를 보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곳의 문해율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나왔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던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대체로 잘 살았던 편이다. 보스니아는 열악한 결과가 나왔지만 이쪽은 겨우 30년간 지배받았고 정식 병합시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망하기 10년 전인 1908년이다. 하지만 오스트리아는 한때 [[서유럽]] 세계의 중심이기도 했을 정도로 핵심적인 [[열강]]이었던 반면, 나머지 국가들은 신생국이거나 그보다도 못한 상태였다. 발칸 국가들은 체급 자체가 작았고, 오스만으로부터 독립한 후 1차 대전 직전까지 [[발칸 전쟁]]을 여러 번 겪느라 내실을 다질 기회가 없었다. [[오스만 제국]] 역시 내우외환과 열강의 경제 침탈 때문에 마찬가지 상태였다. 열강이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경제력은 이들보다는 당연하게도 확실히 앞섰으나, 다른 주요 열강들과 비교하면 명백히 열세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